연금저축 세액공제 계산법
연금저축계좌에 납입한 금액은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소득 수준과 공제 한도에 따라 환급 가능한 금액이 달라지며, IRP와 함께 활용 시 최대 700만 원까지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.
1. 세액공제 기본 공식
- 세액공제액 = 납입금액 × 공제율
- 공제율은 소득에 따라 13.2% 또는 16.5%
- 공제 한도는 단독 사용 시 400만 원 / IRP 포함 시 700만 원
2. 공제율 기준 정리
총급여 기준 | 공제 한도 | 세액공제율 | 최대 절세 효과 |
---|---|---|---|
총급여 5,500만 원 이하 (또는 종합소득 4,000만 원 이하) |
400만 원 (IRP 합산 시 700만 원) |
16.5% | 66만 원 |
총급여 5,500만 원 초과 (또는 종합소득 4,000만 원 초과) |
400만 원 (IRP 합산 시 700만 원) |
13.2% | 최대 92.4만 원 |
💡 연금저축 단독 납입 시 공제 한도는 400만 원, IRP 포함 시 총 700만 원까지 확장됩니다.
3. 계산 예시
- 예시 1: 연 소득 4,800만 원 직장인, 연금저축에 300만 원 납입 → 공제율 16.5% → 49.5만 원 환급 예상
- 예시 2: 연 소득 6,000만 원 자영업자, 연금저축 300만 원 납입 + IRP 300만 원 납입 → 공제율 13.2% → 총 600만 원 × 13.2% = 79.2만 원 절세
4. 세액공제 유의사항
- 공제 한도 초과분은 세제 혜택 없음
- 중도 해지 시 세액공제 혜택 반납 + 기타소득세 16.5% 부과
- 연금 수령은 만 55세 이후부터 가능
✅ 연금저축은 **세금 돌려받고, 노후자산까지 준비할 수 있는 이중 효과**가 있는 전략적 상품입니다.
IRP와 병행하면 세제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